저는 Dos 시절 추억 때문에 Dosbox를 종종 이용하는 편입니다. Dosbox는 2019년쯤 0.74-3 까지 나왔는데 그 이후 업데이트가 잘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리눅스와 맥용은 그렇지 않은데 윈도우 버전을 사용해보면 .conf에 autoexec 부분을 설정할 때 한글과 공백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허나 수정되지 않고 있어 개인적으로는 이런 부분이 참 아쉽습니다. 또한 Dosbox를 이용해 윈도우95 등을 설치해 보면 하드웨어 호환성 또한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Dosbox을 보완할만한 포팅된 여러 버전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DOSBox-X에 대해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 DOSBox-X는 Dosbox에서는 아쉬웠던 PC-98 에뮬레이팅도 가능합니다. 윈도우 98 등을 공식지원 및 가속 등 하드웨어 구현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호환성 측면에서 나은 부분이 있다고 하고요. 사실 DOSBox-X는 Windows 전용은 아니지만 Windows 환경에서 설치해 볼 것이기 때문에 제목을 Windows 라고 적었습니다. 먼저 하단은 공식 사이트입니다.
DOSBox-X - Accurate DOS emulation for Windows, Linux, macOS, and DOS
What is DOSBox-X? DOSBox-X is an open-source DOS emulator for running DOS applications and games. DOS-based Windows such as Windows 3.x and Windows 9x are officially supported. Compared to DOSBox, DOSBox-X is much more flexible and provides more features.
dosbox-x.com
웹페이지에 들어 가서 왼쪽을 보면 Windows version 32/64-bit Setup Vista+ 버전이 있습니다만 이것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하시면 Wizard 형태로 컴파일러를 지정하고 DOSBox-X를 빌드하는 과정을 거칠 것입니다. 개발자분들이라면 빌드해 보는 것도 좋겠지만 저도 이번에는 이용해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것을 설치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희는 다음 링크를 통해 이미 빌드된 것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링크로 들어갑니다.
https://github.com/joncampbell123/dosbox-x/releases
Releases · joncampbell123/dosbox-x
DOSBox-X fork of the DOSBox project. Contribute to joncampbell123/dosbox-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최신 버전 포스팅의 밑으로 내려가다 보면 Assets 라는 란이 있습니다.
os 빌드 환경 (win32 / win64) 및 빌드시킨 컴파일러 (mingw / vsbuild) 별로 파일이 있습니다. 원하시는 파일을 선택하시되 제작자가 Visual Studio 빌드보다 MinGW 빌드가 특정 기능이 더 잘 작동할 수 있다는 말을 하여 저는 dosbox-x-mingw-win64-20231007055223.zip 파일을 받아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압축을 C:\\DOSBox-X에 압축을 풀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C:\\DOSBox-X\mingw-build 폴더 밑에는 mingw와 mingw-sdl2 가 있습니다. mingw는 SDL1으로 빌드된 것이며, mingw-sdl2는 SDL2로 빌드된 결과물입니다. 원하는 버전을 사용하면 됩니다. 제작자의 커맨트로는 non-U.S keyboard에서 SDL1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 SDL2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일단 저는 SDL1으로 빌드된 버전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각 폴더에 있는 dosbox-x.conf는 DOSBox-X의 구동 설정입니다.
이를 수정하면 좀 더 사용하기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DOSBox-X 한국어 설정 (다음의 세션들을 찾아 수정합니다.) |
[dosbox] language = ko_KR.lng [dosv] dosv=ko [config] country=82,949 [sdl] output=ttf [ttf] font=batang.ttc |
이제 Windows 98SE (Second Edition)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Windows 98SE를 설치하려는 이유는 Windows 98SE가 MS-DOS기반의 마지막 Microsoft Windows 이기 때문에 제일 그나마 안정적이지 않을까 해서입니다. (사실 실패작인 ME도 있지만) 다음은 DOSBox-X의 wiki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최대한 설명하겠지만 결국은 이 문서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고로 링크를 드립니다.
https://dosbox-x.com/wiki/Guide%3AInstalling-Windows-98
Installing Microsoft Windows 98 in DOSBox-X
The default video adapter that DOSBox-X emulates is the S3 Trio64, which is the best emulated video adapter that DOSBox-X offers, with the widest range of resolutions and colour depths. In addition, this video adapter is supported out-of-the-box in Windows
dosbox-x.com
1. 설치전 준비
설치 이전에 준비가 조금 필요합니다.
일단 Windows 98 SE 이미지는 따로 사이트에서 제공하지 않으므로 CD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Windows 98 SE는 이미 지원이 중단된 OS 이므로 Microsoft 사이트에서는 받을 수 없고, 제가 받아서 쓰는 파일에 문제가 전혀 없는지를 알 수가 없어서 추천드리지 못했습니다. 죄송하지만 해당 이미지는 직접 찾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구글에서 'Windows 98 SE ISO'라고 검색해도 이것저것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2. Config 설정
dosbox-x.conf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물론 여러개의 설정을 가지고 싶다면 별개의 파일을 만들어 놓고 다음과 같이 이를 지정해서 실행하셔도 됩니다.
예) dosbox-x-windows-se.conf 파일이 있을때
dosbox-x.exe -conf dosbox-x-windows-se.conf
그리고 conf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좀 내용이 길기 때문에 접어두겠습니다. 펼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guide에서 요구하는 부분인데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한다는 아니고, windows 98 할때 추천하는 세팅입니다.
[sdl]
# 마우스로 화면을 잡았을 때 마우스를 잡아줍니다
autolock=true
[dosbox]
# 윈도우 타이틀바 이름
title=Windows 98
# dosbox 사용 메모리 (megabytes)
memsize=128
[video]
# video memory 크기 8이상이어야 1600x1200 16M colors 표현가능
vmemsize=8
vesa modelist width limit=0
vesa modelist height limit=0
[dos]
# windows 98을 설치하기 위해 구동할 dos버전
ver=7.1
hard drive data rate limit=0
floppy drive data rate limit=0
[cpu]
# cpu 타입
cputype=pentium_mmx
# 더 많은 cpu 사용을 요하지만 좀 더 세밀함
core=normal
[sblaster]
# 사운드카드 설정
sbtype=sb16vibra
[fdc, primary]
int13fakev86io=true
[ide, primary]
int13fakeio=true
int13fakev86io=true
[ide, secondary]
int13fakeio=true
int13fakev86io=true
cd-rom insertion delay=4000
[render]
scaler=none
[autoexec]
3. 하드디스크 이미지 생성
기존 DosBox에서 Dos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행파일이 있는 실제 폴더를 마운트 해서 사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했습니다. 허나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티션 설정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폴더를 지정하는 이런 것들을 지정 해 줄수가 없습니다.DosBox에서 제공하는 IMGMAKE 명령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 이미지를 만들고 이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DosBox-X를 실행 후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면 8GB의 하드디스크 이미지가 hdd.img라는 이름으로 실제 외부에 생성됩니다. 생성후 C드라이브로 마운트 합니다.
imgmake hdd.img -t hd_8gig
imgmount c hdd.img
이제 전에 받은 Windows SE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윈도우 CD를 D에 마운트하고 cd의 부트 부분을 a 드라이브로 인식하였습니다. 그리고 a drive로 부팅합니다.
imgmount d '파일경로'
imgmount a -bootcd d
boot a:
4. 윈도우 설치
전에 a drive 부팅을 시키고 나면 이제 cd-rom으로 부팅하여 설치를 시작됩니다.
이후의 설치는 일반적인 Windows 설치와 같기 때문에 일반적인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설치하는 동안 마우스는 동작할 때도 있지만 동작하지 않는 다는 때도 있다는 것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종종 설치를 해본 결과로는 옛날 OS 설치는 생각보다 그렇게 깔끔하게 한방에 되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hdd.img 에 윈도우 98이 설치를 위한 파일 복사가 완료된 것입니다.다시 conf 파일에 들어가서 이제 자동으로 hdd.img를 마운트하고 이것으로 부팅할 수 있게 설정해 줍니다. 설치 CD도 중간에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같이 마운트 해줍니다.
[autoexec]
imgmount d '파일경로'
imgmount c hdd.img
boot c:
그리고 다시 시작하면 Windows 98 설치를 이어서 진행하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다음과 같이 화면이 전체적으로 하얗게 나오면 글씨가 회색으로 나와서 잘 안보이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일단 전 무시하고 진행하였습니다. 중간에 마우스가 락건것을 풀고 외부로 나오려면 기본 단축키는 Ctrl+F10 입니다.
일단 저 같은 경우는 처음에는 windows cd를 마운트를 안시키고 설치를 이어서 진행했었는데 이 경우 하드웨어 설정중 드라이버 설치 필요하는 오류가 발생하였지만, 위처럼 윈도우CD를 마운트 시킨 이후로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설치중에는 화면이 깨졌지만 설치가 완료 되고 나니 화면은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5. 추가 설치
그 다음 이대로 끝내셔도 좋지만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추가로 설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단은 DOSBox-X에 링크되어 있는 Windows 98SE를 위한 소프트웨어들의 Last 버전 링크입니다. DirectX 9.0c등은 원할한 프로그램 구동을 위해 업데이트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사이트에서는 Windows 98SE에 설치해야 할 리스트를 이정도로 참고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Install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1.0, 1.1 and 2.0
Install Microsoft Visual C++ 2005 runtime
Update to Microsoft Internet Explorer 6.0 (rarely needed)
Update to Microsoft DCOM 4.71.1015.0
Update to Microsoft DirectX 9.0c
Install Microsoft Windows Installer 2.0
Install Microsoft WinG 1.0 (needed by just a few games, and those games typically include it)
Install Microsoft GDI+ redistributable
Install Adobe Acrobat Reader 6.0
Install/Update to Adobe Flash Player 9.0.47.0
Install Apple QuickTime 6.5.2
하지만 대부분의 링크는 오래되어 깨져 있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 최소한 Direct X 9.0c는 설치해야 할 것 같아서 보니 지금은 링크가 끊겨 있더군요. 제가 받았던 링크라도 참고하시라고 추가해 놓습니다. (업데이트 2023/12/22)
DirectX 9.0c (링크)
여기까지 하시고나면 hdd.img를 backup 해두시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예전 os는 주기적으로 비정상이 될 확률이 높거든요. 예전에 문제 생기면 os를 다시 설치할 정도로요.
6. 설치 상태 확인
제대로 동작되는지 확인 하기 위해 2D 게임인 한번 Street Fighter Zero2와 3D 게임 투신전2를 실행해 보았습니다.
3D는 좀 느리게 실행 되었지만 CPU 코어등을 조절하면 가능할 것 같고 실행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관련 포스트
2025.01.09 - [분류 안된 것] - [Windows] DOSBox-X에 Windows 98SE에서 한/영 키 문제
'분류 안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DOSBox-X에 Windows 98SE에서 한/영 키 문제 (0) | 2025.01.09 |
---|---|
Mac OS Monterey 업데이트 오류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