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tudio Code4 Ubuntu에서 VSCode+CMake+vcpkg를 이용한 Arm 크로스컴파일 함께 볼만한 글 2022.10.27 - [VS Code] - Ubuntu 에서 VS Code와 vcpkg 그리고 cmake 사용 (1/2) * 아래의 내용은 제가 테스트하며 작업한 내용이며, 완벽한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처럼 리눅스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저의 시행착오 방향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글을 남깁니다. 추후 방법을 제대로 찾으면 해당 문서를 수정하겠습니다. 일단 제가 시도한 방법을 적어봅니다. 참고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일단 Arm용 컴파일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크로스컴파일의 대상 플랫폼에 따라 필요한 컴파일러를 설치합니다. 저는 Arm64 빌드가 필요하여 관련 컴파일러들을 설치하였습니다. Arm 32bit sudo apt-get install gcc-arm-linux-gnueab.. 2023. 1. 17. Ubuntu 에서 VS Code와 vcpkg 그리고 cmake 사용 (2/2) 이전글 2022.10.27 - [VS Code] - Ubuntu 에서 VS Code와 vcpkg 그리고 cmake 사용 (1/2) ▷ 순서 ◁ 1. vcpkg 설치 2. vcpkg 에서 라이브러리 설치 3. cmake 설치 4. vs code에서 cmake 관련 확장 설치 5. cmake 빌드 설정 6. cmake와 vcpkg 라이브러리 설정 이제 VS Code에서 CMake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Make는 빌드파일을 생성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make 파일 이용시 Makefile을 만들어 주는 역활을 합니다. 혹시 아직 설치를 하지 않으셨다면 apt를 이용하여 설치해 줍니다. sudo apt install cmake 설치를 하시는 후에는 VS Code에서 Ctrl+Shift+X를 누르거나 다음.. 2022. 10. 27. Ubuntu 에서 VS Code와 vcpkg 그리고 cmake 사용 (1/2) ▷ 순서 ◁ 1. vcpkg 설치 2. vcpkg 에서 라이브러리 설치 3. cmake 설치 4. vs code에서 cmake 관련 확장 설치 5. cmake 빌드 설정 6. cmake와 vcpkg 라이브러리 설정 Ubuntu 환경에서 VS Code와 vcpkg 그리고 CMake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도 리눅스를 다뤄본 경험이 부족해 잊지 않고자 기록에 남깁니다. 개발자로 사회 생활을 하면서 사실 부끄럽게도 vcpkg와 cmake는 둘 다 최근 처음 사용해 보았습니다. 다양한 도구나 플랫폼에서의 개발 경험이 저도 부족하다보니 생소한게 많더군요. 이 때문에 내용을 쓰다보니 길어져서 게시물은 두개로 나누었습니다. 먼저 vcpkg는 Microsoft가 만든 C++ 라이브러리를 관리해 주는.. 2022. 10. 27. VS Code 와 MD (Mark Down) 활용 MD 파일은 마크다운 (Mark Down)의 약자입니다. 읽기도 쓰기도 쉬운 문서 양식을 지향합니다. 저희 개발자들이 많이 쓰는 GitHub 에서는 기본적으로 README.md 파일을 첫페이지로 표시하기 때문에 MD 파일을 잘 꾸며주면 좀더 친화적인 저장소 설명이 될 수 있습니다. 허나 MarkDown은 표준은 아니기 때문에 GitHub가 지키는 MD파일 규칙을 알고 작업하시는게 좋습니다. GitHub는 기본 MD파일의 변형판인 Github-Flavored Markdown을 따르고 있습니다.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규칙에 대한 좀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docs.github.com/en/get-started/writing-on-github Writing on GitHub -.. 2022. 10. 6. 이전 1 다음